종목 리서치

임대수익으로 버티는 정유주, 흥구석유 투자 가치는?

융라이프 2025. 9. 3. 07:56

임대수익으로 버티는 정유주, 흥구석유 투자 가치는?


출처 : 흥구석유 홈페이지



흥구석유는 대구·경북 지역 석유류 유통업체로, GS칼텍스 대리점을 운영하며 11개 직영 주유소를 보유하고 있다. 시장점유율은 12.9%로 5위 규모이지만, 과당경쟁으로 매출이 지속 감소하고 있다. 2022년 1,467억원에서 2024년 1,169억원으로 20% 감소했으며, 영업손실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흥구삼덕빌딩 등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연 22억원)으로 순이익을 유지하는 독특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현재 시총 1,799억원, PER 293배로 고평가 상태이며, 배당수익률은 0.25%에 불과하다. 중동 리스크 등 유가 상승 시 단기 수혜가 가능하지만, 근본적인 사업 구조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흥구삼덕빌딩 위치



2. 주식 투자 분석
기초재무정보
흥구석유는 1966년 설립된 석유류 도소매업체로, GS칼텍스로부터 석유류를 매입하여 대구·경북 지역에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1,799억원으로 코스닥 시장에서 중간 규모에 해당한다.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영업이익은 2024년부터 적자로 전환되었다. 이는 동종업계 간 과당경쟁과 유통마진 축소가 주요 원인이다.

현재 정확한 시총 및 주요 지표
2025년 9월 2일 기준 흥구석유의 주요 투자지표는 다음과 같다:

현재 주가: 11,990원

시가총액: 1,799억원

PER: 293.03배 (매우 높음)

PBR: 2.30배

ROE: 약 7.8% (추정)

배당수익률: 0.25%

베타: 0.276 (시장 대비 낮은 변동성)

최근 재무제표 분석 (연결기준)
2024년 연간 실적:

매출액: 1,169억원 (전년대비 -7.8%)

영업손실: 3억원 (전년대비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6억원 (전년대비 -45%)

2025년 1분기 실적:

매출액: 294억원 (전년동기대비 -4.0%)

영업손실: 2억원 (적자 지속)

당기순이익: 2억원 (전년동기대비 +33.6%)

영업손실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이 발생하는 이유는 투자부동산 임대수익 때문이다.

주요 비즈니스모델
흥구석유의 비즈니스는 크게 두 부문으로 구성된다:

1) 석유류 유통사업 (주력사업)

GS칼텍스 대구·경북 지역 대리점

11개 직영 주유소 운영

휘발유, 경유, 등유 등 석유제품 판매

대구·경북 지역 시장점유율: 12.9% (5위)

경쟁사: 대성산업(28.5%), 케이케이(24.9%), 대원석유(20.9%) 등

2) 투자부동산 임대사업 (수익원)

흥구삼덕빌딩, 흥구동성빌딩 등 소유

연간 임대수익: 약 22억원

영업손실을 상쇄하는 핵심 수익원

수익구조상 석유류 판매로는 손실이 발생하지만, 부동산 임대수익으로 전체 수익성을 유지하는 구조다.

현재 밸류에이션 및 안전마진
밸류에이션 분석:

PER 293배는 업계 평균 대비 매우 높은 수준

PBR 2.3배는 자산가치 대비 적정 수준

시가총액 1,799억원 vs 순자산 약 789억원

안전마진 분석:
현재 주가 11,990원 기준으로 안전마진은 매우 부족한 상태다. 주요 이유는:

높은 PER: 293배로 과대평가 상태

영업적자 지속: 본업인 석유유통에서 손실 발생

매출 감소 추세: 3년간 20% 감소

임대수익 의존: 비핵심사업에 의존한 수익구조

적정 주가는 8,000~9,000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현재 주가는 약 30% 과대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품별 매출 비중 및 영업이익률

석유류 판매 부문은 과당경쟁으로 마진이 지속 악화되고 있으며, 부동산 임대 부문이 전체 수익성을 지탱하고 있다.

주가 상승 촉매
단기 촉매: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유가 급등

국제 정유마진 확대

정유업계 전반 상승세

중장기 촉매:

신사업 진출 (전기차 충전소 등)

유통구조 효율화

부동산 개발사업 진출

그러나 경영진이 신사업 추진 계획이 없다고 밝혀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

3. 투자 가능 여부
2~3년 후 수익 전망
낙관 시나리오 (30% 확률):

유가 상승 및 정제마진 개선

경쟁업체 통폐합으로 시장점유율 확대

목표 수익률: +20~30%

목표 주가: 15,000원

기본 시나리오 (50% 확률):

현재 수준 유지

임대수익으로 최소 수익성 확보

목표 수익률: -10~+10%

목표 주가: 10,000~13,000원

비관 시나리오 (20% 확률):

과당경쟁 심화 및 전기차 확산

임대수익마저 감소

목표 수익률: -30~50%

목표 주가: 6,000~8,000원

손실 가능성
최대 손실 시나리오:

석유 수요 급감으로 주유소 사업 포기

부동산 가치 하락

예상 손실: -50~60%

주요 리스크:

전기차 확산으로 석유 수요 감소

과당경쟁 지속

경제침체로 임대수익 감소

높은 밸류에이션으로 인한 조정 위험

왜 아직 주목받지 못하는가?
사업 모델의 매력 부족: 본업에서 적자를 내는 구조

성장성 한계: 경영진의 신사업 진출 의지 부족

소형주 특성: 기관투자자들의 관심 부족

복잡한 수익구조: 투자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구조

ESG 이슈: 석유업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

언제 주목받을 것인가?
중동 리스크 발생 시: 유가 급등으로 단기 주목

M&A 소식: 대형 정유사의 인수합병 대상

신사업 진출 발표: 전기차 충전소, 수소충전소 등

부동산 개발 소식: 보유 부동산의 재개발 계획

배당 정책 변경: 배당 확대 정책


면책조항
본 분석은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투자권유나 매매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투자 전 반드시 추가적인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주식투자는 원금손실 위험이 있는 투자상품입니다.



#흥구석유 #024060 #정유주 #부동산투자 #임대수익 #가치투자 #중동리스크 #유가상승 #대구부동산 #GS칼텍스 #석유유통 #에너지주 #배당주 #소형주 #코스닥 #주유소 #건물주 #투자부동산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과당경쟁 #시장점유율 #PER #PBR #안전마진 #분할매수 #단기투자 #트레이딩 #숨은가치주 #사양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