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

“전기요금, 정책이 바뀌면? 저평가된 한국전력을 주목하라”

“전기요금, 정책이 바뀌면? 저평가된 한국전력을 주목하라”한국전력(KEPCO, 015760)은 대한민국 전기 공급의 96% 이상을 책임지는 대표적인 공기업입니다. 2025년 8월 기준 시가총액 24조 5,872억 원, PER 3.88배, PBR 0.58배로 시장 내 대표적인 저평가 대형주입니다. 전체 매출의 대부분이 전기 요금 정책과 연료비에 좌우되어 실적 변동성이 크고, 실적 개선 시 성장 모멘텀도 큽니다. 주요 사업은 ‘전기 판매’이고, 2025년 연간 영업이익률 10% 이상, 순이익률 8.4% 등 뚜렷한 턴어라운드가 펼쳐집니다. 정책 변화, 외국인 순매수 등이 향후 주가의 최대 촉매입니다.주식 및 기업 분석 (네이버증권 최신 연·분기 데이터 반영)1) 기초재무정보/시가총액2025년 8월 25일 기준..

종목 리서치 2025.08.25

“로봇의 관절을 만든다: 로보티즈, 다이나믹셀이 여는 로보틱스 코어 부품의 시대”

“로봇의 관절을 만든다: 로보티즈, 다이나믹셀이 여는 로보틱스 코어 부품의 시대”로보티즈는 로봇의 관절에 해당하는 핵심 구동부 ‘다이나믹셀(DYNAMIXEL)’로 유명한 로봇 부품·플랫폼 기업입니다. 모터·감속기·컨트롤러·통신을 하나로 통합한 액추에이터를 20여 년 넘게 축적된 IP와 생태계로 공급하며, 교육·연구용 표준 플랫폼인 터틀봇(TurtleBot)과 매니퓰레이터 등 응용 제품도 보유합니다. 최근엔 실내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시범·구독형 모델을 확대하고, 휴머노이드/서비스로봇 시장 성장 수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연결 매출 102억 원, 영업이익 8억 원으로 흑자 기조를 보였고(분기), 재고·현금흐름 체력도 양호합니다. 다만 시가총액이 빠르게 커지며 밸류에이션이 높아진 상태라 ..

종목 리서치 2025.08.25

“한화시스템: AESA 레이다부터 저궤도 위성까지, ‘K-디펜스 전자두뇌’의 확장”

“한화시스템: AESA 레이다부터 저궤도 위성까지, ‘K-디펜스 전자두뇌’의 확장”한화시스템은 한국 방산 전자·항공/해양 전투체계의 핵심 플레이어로, 지휘통제·통신, 항공전자(AESA 레이다), 해양전투체계, 위성·우주 등 정밀 전자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설계·생산합니다. 여기에 SI/ITO를 포함한 ICT 사업까지 병행하며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더합니다. 2024년 연결 매출 2조 8,037억 원, 영업이익 2,193억 원으로 꾸준한 외형·이익 성장을 보여줬고, 2025년에도 방산 대형 프로젝트와 해외 수출, 우주/위성 통신 신사업이 모멘텀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국산 전투기 KF-21용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다와 해군 전투체계, 초소형위성·SAR 등 첨단 제품 라인업이 확장 중입니다. ICT는 전산 구..

종목 리서치 2025.08.25

"삼성중공업(010140): 고마진 LNG·FLNG 중심 실적 반등, 조선업의 새로운 기회"

"삼성중공업(010140): 고마진 LNG·FLNG 중심 실적 반등, 조선업의 새로운 기회" 삼성중공업(010140)은 글로벌 조선 및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대표 기업입니다.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은 약 99,031억원, 이 중 92.1%가 조선해양, 나머지 약 7.9%는 토건 부문에서 발생했습니다 .최근 실적도 눈에 띕니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약 2조 6,83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0% 상승, 영업이익은 2,048억원, 전년 대비 56.7% 증가하며 2014년 이후 11년 만에 분기 영업이익 2천억 원대를 회복했습니다 .특히,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 설비)와 고마진 LNG선 중심으로 사업구조가 개선되면서 실적 턴어라운드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글로벌..

종목 리서치 2025.08.24

“현대차, 전기차·SDV로 재무 구조 단단하게 — 지금은 득템 기회!”

“현대차, 전기차·SDV로 재무 구조 단단하게 — 지금은 득템 기회!” 현대자동차(005380)는 1967년 설립된 한국을 대표하는 종합 모빌리티 기업으로, 자동차 제조·판매는 물론 금융, 철도차량, 모빌리티 관련 서비스까지 포괄합니다. 2024년 연결 기준으로는 매출 175조 원, 영업이익 14조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으며, 2025년에는 매출이 185조 원에 육박할 전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ER은 4.6배 수준, PBR은 0.5배 미만으로 여전히 저평가 상태입니다. 더욱이 미국 전기차 공장 본격 가동, 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SDV) 전환 등 미래 성장 모멘텀도 준비된 상황입니다.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 지금 주목할 만한 투자 기회입니..

종목 리서치 2025.08.24

“유한양행, ‘렉라자’ 성장 엔진으로 웃는 제약 강자”

“유한양행, ‘렉라자’ 성장 엔진으로 웃는 제약 강자”유한양행은 1926년 설립된 국내 대표 종합 제약사로, 의약품, 화학약품, 수의약품, 생활용품을 아우르는 다양한 사업을 영위합니다. 최근에는 암 치료제 렉라자(해외명 라즈클루즈)의 일본 출시로 2분기 매출이 5,790억 원, 영업이익이 49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9.6%, 영업이익 +168.9%의 고성장을 이뤄냈습니다 . 또한 라이선스 수익은 전년 대비 무려 40배 이상 증가한 약 255억 원에 달했습니다 . 유한양행은 견조한 약품사업과 함께 해외사업, 특히 라이선스 기반 수익이 큰 폭으로 확대되며 수익성 강화가 본격화되었습니다.2. 주식 관련 분석 글① 기초 재무정보시가총액: 약 9.2조 원 수준 (8.56T ≈ 8.56조 원에..

종목 리서치 2025.08.24

라프텔·애니맥스·극장판 유통까지: 2025년에도 달리는 ‘애니플러스'

라프텔·애니맥스·극장판 유통까지: 2025년에도 달리는 ‘애니플러스’애니메이션 전문 유통·플랫폼 기업 애니플러스는 TV채널(ANIPLUS), OTT ‘라프텔’, 극장판 배급, 전시·행사(AGF)와 캐릭터 굿즈까지 아우르며 ‘IP 풀 스택’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2024년 연결 매출 1,309억 원, 영업이익 251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2025년 1분기도 매출 2,940억 원대(294억 원)·영업이익 520억 원대(52억 원, 억 원 기준)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라프텔은 누적 가입자 600만·MAU 130만으로 국내 애니 OTT 중 독보적 트래픽을 보유하며 수익성을 뒷받침합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귀멸의 칼날’ 등 굵직한 극장판 라인업과 전시·행사, 캐릭터 ..

종목 리서치 2025.08.24

“OEM 본업 탄탄+재고 정상화 구간의 영원무역”

“OEM 본업 탄탄+재고 정상화 구간의 영원무역”영원무역은 글로벌 아웃도어·스포츠 의류/신발/백팩을 OEM으로 생산하는 국내 대표 제조기업입니다. 방글라데시·베트남 생산거점을 기반으로 원단-의류까지 수직계열화를 구축했고, 프리미엄 자전거 ‘SCOTT’ 유통 등도 연결 자회사에 포함됩니다. 2024년 연결 매출 3조 5,178억 원, 영업이익 3,156억 원을 기록했고(영업이익률 9.0%), 2025년 1분기는 매출 8,113억 원(+14.3% YoY), 영업이익 823억 원(+15.9% YoY)으로 턴어라운드 흐름을 확인했습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51조 원, 2024년 기준 PER 4.4배, PBR 0.50배, 배당수익률 약 3.3%로 밸류에이션이 낮은 편입니다. OEM 수주 회복과 SCOTT 재..

카테고리 없음 2025.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