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리서치

케이카(K Car, KRX: 381970) — 중고차 시장의 숨은 보석

융라이프 2025. 8. 13. 12:13

1. 기본 정보

1.1 시가총액

최근 기준 약 7,300억 원 수준입니다 (~735.74 B 원) .


1.2 최근 재무제표

매출액(최근 12개월): 약 2.30조 원

당기순이익(TTM): 약 466억 원, EPS: 약 958원 .

ROE: 20.39%, ROA: 8.05%, ROIC: 9.67% .

현금: 224억 원, 총부채: 2,311억 원, 순차입금: -2,087억 원(즉, 순부채 상태) .

잉여현금흐름(FCF): 267억 원 (FCF per share 약 554원) .

영업이익률: 약 3.12%, 순이익률: 약 2.03% .

배당 수익률: 약 7.86%, 배당금 1,200원/주 .

경영 실적 (2024년 기준): 매출 약 2조 3,015억 원(+12.4%), 영업이익 681억 원(+15.4%), 순이익 440억 원(+55%), ROE 19.09%, PER 약 14.04배, 배당수익률 8.98% .

1분기 실적(2025년): 매출 약 6,047억 원, 영업이익 약 215억 원(+21.8%)—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


1.3 주요 비즈니스 모델

중고차 유통: 전국 48개 직영 지점 기반의 온/오프라인 판매 및 '내차사기 홈서비스' .

렌터카 서비스: 단기·장기 렌터카 운영

친환경 차량 대응: 전기차(EV) 및 하이브리드 차량 매입·판매 확대

부가가치 사업: 중고차 경매, 차량 정비, 보증 상품 등 부가 서비스 .



---

2. 현재 주가 밸류에이션

PER(2025 추정): 약 14.5배, 2026년 예상 PER: 12.4배 .

EV/Sales (2025): 약 0.4배 .

배당수익률(2025): 약 7.86%, 2026 예상: 8.11% .

PER(2024 기준): 약 14배 .

52주 주가 움직임: 연간 +16.1% 상승 .

기술적 지표: 베타 1.46 (시장 대비 높은 변동성), 50일/200일 이동평균 각각 약 15,654원 / 13,884원 .



---

3. 주가 상승 촉매 요인

1. 높은 배당 수익률 (약 8%) — 안정적인 현금 흐름 기반으로 투자자 매력도 상승.


2. 강력한 1분기 실적: 매출과 이익 모두 두 자릿수 성장, 역대 기록 경신 .


3. 시장 지배력: 직영 플랫폼 기반의 중고차 판매 1위 기업으로 영향력 확대 중 .


4. 높은 ROE·FCF: 수익성과 현금창출력 두루 우수한 상태.


5. 밸류에이션 매력: PER 12~14배대, 연 8% 배당 수익률 등 저평가 상태로 평가될 수 있음.




---

4. 정리

1) 얼마나 벌 수 있나?

PER 2026 기준 12.4배 → 2025년 수준(14.5배) 회복 시 약 17% 상승 여력 존재.

고배당 수익률 8%+, 이익 성장 시 연간 배당 포함 수익률은 20%대 가능성.


2) 얼마나 잃을 수 있나?

시장 침체나 이익 둔화 시 PER 하락 리스크(예: 10배 이하).

배당 안정성: 배당성향이 100% 이상으로 다소 높아, 이익 감소 시 배당 조정 가능성 존재.

즉, 리스크는 존재하나 실적과 배당력이 뒷받침된다면 손실 폭은 제한적일 수 있음.


3) 왜 아직 투자자들이 이 기회를 주목하지 못하나?

‘중고차’라는 산업 특성상 관심도가 낮고, 기술주 중심 투자 흐름 속에서 소외된 측면.

배당주 특화라 움직임이 완만해, 눈에 띄는 모멘텀이 부족할 수 있음.


4) 언제 다른 사람들이 알게 될까?

2025년 10월 말 예정인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서프라이즈가 발생하면 투자자의 관심이 확대될 가능성 큼 .

배당정책 유지 및 성장성 재확인 시, 투자 자금 유입이 빨라질 수 있음.

**경영 전략(예: 친환경차, 플랫폼 확대)**이 확실하게 드러나면 시장의 주목도가 상승할 수 있음.



---

5. 마무리

> 케이카(K Car, KRX: 381970) — 중고차 시장의 숨은 보석

시가총액은 약 7,300억 원, 최근 12개월 매출은 2.30조 원, 당기순이익은 466억 원에 달합니다. EPS는 약 958원, ROE는 20%대로 높은 수익성을 보여줍니다 .
부채보다 현금이 더 많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FCF는 267억 원, 주당 FCF는 554원으로 양호합니다 .

얼마나 벌 수 있을까요?
2026년 PER 기준 12.4배가 2025년 수준(14.5배)으로 회복된다면 주가 상승 여력은 약 17%, 여기에 연 약 8% 고배당까지 더하면 연간 20%대 수익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얼마나 위험할까요?
실적 둔화나 경기 하강 시 PER 하락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또한 배당성향이 높아 이익 감소 시 배당 조정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현재 실적과 배당력이 튼튼해 큰 손실 없이 버틸 수 있는 구조로 보입니다.

왜 아직 눈에 띄지 않을까요?
‘중고차’라는 산업 특성상 투자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경향이 있고, 특히 기술·성장주 중심의 투자 흐름 속에 상대적으로 조용히 존재하게 됩니다.

관심이 모일 수 있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10월 말 예정)**에서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이 나온다면 주목도가 단숨에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차량 확대, 플랫폼 확장 등 전략적 변화가 확실히 드러나면 자연히 눈에 띌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케이카는 안정적 수익성과 현금창출력, 높은 배당 수익률을 갖춘 '숨겨진 기회'로 읽힙니다. 배당과 실적 성장의 두 가지 모멘텀을 동시에 갖춘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충분한 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