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사막을 넘어, 펄어비스의 미래는 다채롭게 펼쳐진다
펄어비스(263750)는 2010년 설립된 한국의 대표 게임 개발기업으로, 글로벌 히트작 '검은사막(Black Desert Online)'의 제작사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2018년에는 북유럽 인기 MMORPG ‘이브 온라인(EVE Online)’ 개발사 CCP Games를 약 4억 2,500만 달러에 인수하며 글로벌 확장을 본격화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은 약 3,424억 원, 영업손실은 –123억 원 수준으로 아직 흑자로의 완전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내년 출시 예정인 신작 '붉은사막(Crimson Desert)'과 '도깨비', '플랜 8' 등으로 IP 확장과 매출 다변화에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는 약 3만 8천 원대, 시가총액은 약 2.5조~2.6조 원 수준입니다. 탄탄한 주력 IP와 글로벌 게임 개발 기반, 그리고 신작으로의 성장 모멘텀이 있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주식 관련 분석
■ 기초 재무정보 & 시가총액
시가총액: 약 2.45조 원 (2025년 5월 기준)
주가 범위 / 베타: 52주 최고 47,650원 / 최저 26,750원, β ≈ 0.50 (낮은 변동성)
PER: 최근결산 기준 약 29.5배
PBR: 약 2.1배 수준
ROE: 약 7.9% (2024년)

■ 최근 재무제표 요약 (연간·분기별)
2024년 연결 실적: 매출 3,424억 원, 영업손실 –123억 원, 당기순이익 +603억 원
2025년 2분기(2Q): 매출 약 796억 원(YoY –2.7%, QoQ –4.9%), 영업손실 –118억 원 지속


■ 주요 비즈니스 모델
게임 IP 중심: 전체 매출의 약 97%는 '검은사막' 등 게임 사업에서 발생.
신작 포트폴리오: 2025년 '붉은사막' 출시 예정, 이후 '도깨비'와 '플랜 8'으로 글로벌 매출 확대 계획.
글로벌 확장 기반: CCP Games 인수를 통한 북미·유럽 시장 진출 강화.
■ 매출 비중 & 수익성
매출 비중: 게임 사업 약 96.9%–99.8% (펄어비스 자료 차이 일부 존재).
영업이익률: 2024년 –3.6% 수준, 2분기 –14.8%으로 적자 지속 상황.
■ 현재 밸류에이션 & 안전마진
PER 약 29–30배, PBR 약 2.1배, **ROE 7–8%**는 게임업 평균 대비 양호한 수준.
안전마진: 신작 출시 전 실적 기반 프리미엄은 다소 제한적이며, 성공적인 신작 출시 시 반등 여력 존재.
■ 주가 상승 촉매
1. '붉은사막' 출시 및 흥행 성과: 초기 매출·이용자 수, 플랫폼 확장 등.
2. 신작 '도깨비'나 '플랜 8'의 글로벌 반응.
3. CCP Games 기반 EVE IP 활용, 신규 콘텐츠 출시.
4. 흑자 전환 및 실적 회복 신호 (영업이익 전환).
■ 투자 가능 여부: 기회와 리스크
업사이드: 흥행 신작 출시로 실적 개선+주가 멀티플 상승.
다운사이드: 신작 흥행 부진, 적자 확대, 밸류에이션 압박.
모르는 이유: 아직 신작 출시 전 단계로, 보수적 투자자들은 실재 실적 확인 전까지 기다리는 경향 있음.
관심 시점: 신작 출시 직전·직후 실적 및 흥행 지표 발표 시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 집중 가능.
면책조항 (Disclaimers)
이 글은 공개된 재무정보와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한 정보 제공 목적의 요약이며, 특정 주식의 매수·매도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시장 리스크, 신작 흥행 여부, 공시 등의 변수에 따라 실제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종목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프텔·애니맥스·극장판 유통까지: 2025년에도 달리는 ‘애니플러스' (57) | 2025.08.24 |
---|---|
“시프트업(462870) —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가 만든 두 개의 성장 엔진” (41) | 2025.08.23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대급 2분기 실적' 뜨거운 날개로 시장을 비상하다” (39) | 2025.08.23 |
한전기술(052690) (89) | 2025.08.22 |
JW중외제약 (001060) (50)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