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프트업(462870) —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가 만든 두 개의 성장 엔진”


시프트업은 모바일 히트작 승리의 여신: 니케와 콘솔·PC AAA 타이틀 스텔라 블레이드를 보유한 한국 게임 개발사입니다. 2024년 코스피 상장 이후, 니케의 안정적인 라이브 매출과 스텔라 블레이드의 플랫폼 확장(PS5→PC)이 실적을 이끌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1,123억 원, 영업이익 682억 원, 영업이익률 60.7%로 매우 높은 수익성을 증명했습니다. 같은 분기 매출 비중은 스텔라 블레이드 58.5%, 니케 40.1%. 풍부한 순현금성 자산과 신규 프로젝트 ‘프로젝트 스피릿’ 개발도 가시화되어 중장기 모멘텀도 보유합니다.

2) 주식 관련 상세 분석
재무정보
2025년 2Q(별도): 매출 1,123.8억 원, 영업이익 682.2억 원, 당기순이익 513.1억 원, 영업이익률 60.7%.
TTM(‘24 3Q~‘25 2Q) 기준 매출 2,761억 원, 영업이익 1,762억 원, 순이익 1,612억 원.
재무상태(‘25.6.30): 현금및현금성 1,388억, 단기 FVTPL 금융자산 3,269억,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1,927억 등 풍부한 현금·금융자산 보유. 총부채 929억 수준. (사실상 순현금 > 5,000억 원 규모)
현재 정확한 시총
주가: 40,300원(2025-08-22 종가 인근)
발행주식수: 58,781,720주
시가총액: 약 2.38조 원 (40,300원 × 58,781,720주)
(주가/주식수는 토스증권·인베스팅·언론 자료 일치)
최근 재무제표(연간·분기)
연간(별도): 2024년 매출 2,241억, 영업이익 1,211억, 순이익 1,246억. 영업이익률 54%.
분기(‘24 3Q~‘25 2Q)
‘24 3Q: 매출 580억 / 영업이익 356억
‘24 4Q: 매출 635억 / 영업이익 462억
‘25 1Q: 매출 422억 / 영업이익 263억
‘25 2Q: 매출 1,123억 / 영업이익 682억 (PC출시 효과 반영)
비즈니스 모델(어떻게 돈을 버나)
니케(NIKKE): 글로벌 라이브 서비스형 모바일 게임. 인게임 결제(과금)·이벤트·콜라보로 지속 캐시플로우 창출.
스텔라 블레이드: 콘솔(PS5) 패키지 판매 → 2025.6.11 PC 출시로 TAM 확대, DLC/에디션 번들 등 추가 모네타이즈.
IP 비즈니스: MD, 컬래버, 스토어(굿즈) 등 IP 확장 수익.
신규개발: 프로젝트 스피릿 등 차기작 파이프라인.
제품별 매출 비중(및 이익률)
2025년 2Q 매출 믹스: 스텔라 블레이드 58.5%(657억), 니케 40.1%(451억), 기타 1.4%(15억).
2024년 연간 매출 믹스: 니케 67.6%, 스텔라 블레이드 30.4%, 기타 2.0%.
제품별 OPM은 공시상 미공개(회사 전체 OPM만 제시). 업계 특성상 라이브 모바일이 평균 마진 높고, 패키지는 론칭·마케팅 시기 변동성이 큼. (공식 IR엔 합산 OPM 60.7%(‘25 2Q)만 확인)
현재 밸류에이션과 안전마진
PER(TTM): 대략 14~15배(주가 4.03만/주, TTM EPS 약 2,740원 추정).
EV/EBIT(TTM): 순현금 약 0.56조 가정 시 EV ≈ 1.8조, EV/EBIT ≈ 10배 수준.
동종 고수익 모바일·콘솔 혼합 포트폴리오 중에서도 현금 두텁고 OPM 50~60%라는 점은 방어적. 다만 단일 IP 의존도와 콘텐츠 흥행 변동성은 안전마진을 깎는 요인. (현금·OPM 수치는 IR 원문)
주가 상승 촉매
1. 스텔라 블레이드 PC 성과 지속(출시 직후 스팀 상위 매출, 추가 콘텐츠·에디션 효과)
2. 니케 대형 콜라보/이벤트(예: 레지던트 이블 협업 공개)로 ARPPU·리텐션 제고 가능성
3. 신작(프로젝트 스피릿) 개발 진행상 업데이트/티저 공개 시 기대감 반영
4. 현금성 자산 기반의 공격적 마케팅·IP 확장(스토어, 굿즈 등)
수급·리스크
보호예수 해제(물량 출회), 일부 기관 매도 등 수급 변수는 단기 변동성 요인. (‘25.7 기사)
IP 의존도, 신작 일정·퀄리티 리스크, 글로벌 규제/플랫폼 수수료.
분기 변동성: 패키지형 매출은 분기 편차 큼(출시·세일 시 집중).
투자 가능 여부(개인적 판단용 프레임)
보수적 기준: TTM OPM 64% 내외, 순현금 풍부, PER 14~15배면 ‘좋은 회사/합리적 가격’ 구간. 다만 단일 IP 리스크·수급 변수를 감안하면 분할 접근이 합리적. (일반 정보 제공)
2~3년 시나리오(러프 가정)
베이스: TTM 매출 2,761억→ 연평균 한 자릿수 후반 성장, OPM 4518배 재평가 가정 시 중간 한 자릿수~두 자릿수 초반 연복리.
업사이드: 니케 중국·대형 콜라보, 스텔라 블레이드 장기판매(PC/콘솔) + 신작 가시화 → 두 자릿수 중후반 연복리 여지.
다운사이드: 콜라보 성과 부진, 신작 지연/실패, 보호예수 해제 후 수급 악화 → 주가 추가 하락·기간 조정. (정량 수치는 참고 시뮬레이션)
“왜 아직도 좋은 기회를 모를까?”
게임주는 분기 편차·수급 이슈에 과도하게 반응.
패키지 매출은 런칭 이후 잔존치 판별까지 시간이 필요 → 시장이 보수적.
신작 정보 비공개 구간에선 밸류에이션 할증이 어려움. (IR/뉴스 흐름 참조)
“언제 사람들이 많이 오른다는 걸 알게 될까?”
신작(프로젝트 스피릿) 트레일러/출시윈도 가시화,
니케 메가 콜라보 흥행 데이터(매출순위·MAU) 확인,
스텔라 블레이드 PC 장기 판매곡선이 분기 실적로 반영될 때. 이 3요소가 숫자로 확인되는 분기가 리레이팅 타이밍일 확률이 높습니다.
면책조항
본 글은 투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결정의 책임은 전적으로 개인에게 있습니다. 시장 상황은 예측과 다를 수 있으므로, 투자 전 반드시 충분한 분석과 전문가 조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종목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양행, ‘렉라자’ 성장 엔진으로 웃는 제약 강자” (26) | 2025.08.24 |
---|---|
라프텔·애니맥스·극장판 유통까지: 2025년에도 달리는 ‘애니플러스' (57) | 2025.08.24 |
검은사막을 넘어, 펄어비스의 미래는 다채롭게 펼쳐진다 (33) | 2025.08.23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대급 2분기 실적' 뜨거운 날개로 시장을 비상하다” (39) | 2025.08.23 |
한전기술(052690) (89) | 2025.08.22 |